본문바로가기

환경관리

에너지 관리

에너지 사용관리

구분 단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동화약품 전체
연료에너지 도시가스(LNG), 휘발유, 경유 TJ 52.007 54.152 63.412 모니터링
전력에너지 수전전력 139.660 138.430 142.030
에너지 사용량 합계 191.667 192.582 205.442
에너지 사용량 목표 - - 188.9 215.69
에너지 사용량 집약도 TJ/생산량(백만개) 0.33388 0.31930 0.34216 모니터링
GMP 공장
연료에너지 도시가스(LNG) Nm3 1,121,330 1,150,462 1,363,887 모니터링
TJ 48 50 59
휘발유 KL 2.256 2.246 2.708
TJ 0.074 0.073 0.089
경유 KL 9.079 10.299 9,606
TJ 0.343 0.389 0.363
전력에너지 수전전력 KWh 13,073,907 12,888,087 13,258,464
TJ 126 124 127
에너지 사용량 합계 TJ 174.417 174.462 186.452
에너지 사용량 목표 TJ - - 171 196
연구소
연료에너지 도시가스(LNG) Nm3 84,094 86,465 92,632 모니터링
TJ 3.59 3.69 3.96
전력에너지 수전전력 KWh 1,422,882 1,503,306 1,565,872
TJ 13.66 14.43 15.03
에너지 사용량 합계 TJ 17.25 18.12 18.99
에너지 사용량 목표 TJ - - 17.90 19.69

집약도는 TJ/생산량(백만개)으로 충주공장 연간 자사생산 실적(제제기준)을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온실가스 배출관리

구분 단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동화약품 전체
직접배출 Scope 1 tCO2eq 2,633.20 2,701.74 3,178.95 모니터링
간접배출 Scope 2 6,687.03 6,639.58 7,081.37
온실가스 총 배출량 합계 Scope 1 + 2 9,320.23 9,341.32 10,260.32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 - - 9,230 10,760
온실가스 배출량 집약도 tCO2eq/생산량(백만개) 16.24 15.49 17.09 모니터링
GMP 공장
직접배출 Scope 1 tCO2eq 2,453.20 2,516.74 2,979.95 모니터링
간접배출 Scope 2 6,012.03 5,926.58 6,338.37
온실가스 총 배출량 합계 Scope 1 + 2 8,465.23 8,443.32 9,318.32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 - - 8,343 9,784
연구소
직접배출 Scope 1 tCO2eq 180 185 199 모니터링
간접배출 Scope 2 675 713 743
온실가스 총 배출량 합계 Scope 1 + 2 855 898 942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 - - 887 976

tCO2eq 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대표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로 환산한 양을 말합니다.
집약도는 tCO2eq/생산량(백만개)으로 충주공장 연간 자사생산 실적(제제기준)을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물ㆍ대기 관리

용수사용 관리

구분 단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동화약품 전체
용수 취수량 상수 147,170 147,967 176,130 모니터링
공업용수 0 0 0
지하수 0 0 0
취수량 합계 147,170 147,967 176,130
용수 사용량 실적 147,170 147,967 176,130
용수 사용량 목표 - - 143,295 178,033
용수 재이용량 12,632.40 13,326.60 16,489.3 모니터링
용수 재이용률 (재이용량 / 사용량) % 8.58 9.01 9.36
GMP 공장
용수 취수량 상수 141,510 142,932 170,791 모니터링
공업용수 0 0 0
지하수 0 0 0
취수량 합계 141,510 142,932 170,791
용수 사용량 실적 141,510 142,932 170,791
용수 사용량 목표 - - 138,295 172,633
연구소
용수 취수량 상수 5,660 5,035 5,339 모니터링
공업용수 0 0 0
지하수 0 0 0
취수량 합계 5,660 5,035 5,339
용수 사용량 실적 5,660 5,035 5,339
용수 사용량 목표 - - 5,000 5,400

대기오염물질 관리

연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구분 단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동화약품 전체 (총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질소산화물 1.479 1.308 1.530 모니터링
황산화물 0.115 0.008 0.013
먼지 0.429 0.379 0.394
기타(탄화수소 등) 2.065 2.375 2.591
합 계 4.088 4.070 4.528
GMP 공장
질소산화물 1.260 1.044 1.283 모니터링
황산화물 0.115 0 0
먼지 0.427 0.376 0.393
기타(탄화수소 등) 2.065 2.375 2.591
합 계 3.867 3.795 4.267
연구소
질소산화물 0.219 0.264 0.247 모니터링
황산화물 0 0.008 0.013
먼지 0.002 0.003 0.001
합 계 0.221 0.275 0.261
강화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구분 단위 배출허용기준 강화된 사내 관리기준
(배출허용기준 70%)
2024년 평균 배출농도 사내 관리기준 초과 여부
GMP 공장
질소산화물 ppm 40 28 8.85 초과 없음
황산화물 ppm 200 140 0 초과 없음
먼지 mg/S㎥ 30 21 2.18 초과 없음
연구소
질소산화물 ppm 60 42 20.88 초과 없음
황산화물 ppm 70 49 0.83 초과 없음
먼지 mg/S㎥ 30 21 0.53 초과 없음

환경경영시스템 목표관리를 통하여 배출되는 모든 대기오염물질에 강화된 사내 관리기준을 적용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수질오염물질 관리

연간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구분 단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동화약품 전체 (총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TOC (총 유기탄소량) 0.934 1.201 3.103 모니터링
BO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0.547 0.714 2.264
SS (부유물질) 1.601 2.324 3.798
기타 [T-N(총 질소), T-P(총 인) 등] 0.166 0.195 0.280
오염물질 배출량 합계 3.248 4.434 9.445
폐수 배출량 83,315 96,120 126,641
GMP 공장
TOC (총 유기탄소량) 0.928 1.198 3.100 모니터링
BO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0.545 0.712 2.262
SS (부유물질) 1.598 2.322 3.797
기타 [T-N(총 질소), T-P(총 인) 등] 0.145 0.156 0.250
오염물질 배출량 합계 3.216 4.388 9.409
폐수 배출량 81,041 94,457 125,192
연구소
TOC (총 유기탄소량) 0.006 0.003 0.003 모니터링
BO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0.002 0.002 0.002
SS (부유물질) 0.003 0.002 0.001
기타 [T-N(총 질소), T-P(총 인) 등] 0.021 0.039 0.03
오염물질 배출량 합계 0.032 0.046 0.036
폐수 배출량 2,274 1,663 1,449
강화된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구분 단위 배출허용기준 강화된 사내 관리기준
(배출허용기준 70%)
2024년 평균 배출농도 사내 관리기준 초과 여부
GMP 공장
TOC (총 유기탄소량) mg/L 75 52 24.76 초과 없음
BO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120 84 18.07 초과 없음
SS (부유물질) 120 84 30.33 초과 없음
연구소
TOC (총 유기탄소량) mg/L 50 35 1.90 초과 없음
BO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80 56 1.18 초과 없음
SS (부유물질) 80 56 0.5 초과 없음

환경경영시스템 목표관리를 통하여 배출되는 모든 수질오염물질에 강화된 사내 관리기준을 적용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폐수처리 공정

동화약품 GMP 공장
일반폐수

일반 폐수 유입

집수조

유량조정조

접촉산화조
(생물학적)

침전조

방류수조

폐수배출
(종말처리장)

농축조

탈수설비

슬러지 반출

특정폐수

특정 폐수 유입

위탁 저장조

반출처리
(위탁차량)

비점오염원수 (빗물 등)

비점오염원수
발생

저감시설
(유역1,2,3)

저감처리 후 배출

동화약품 연구소
일반폐수 / 특정폐수

일반/특정
폐수 유입

집수조

유량조정조

접촉산화조
(생물학적)

침전조

방류수조

환경배출

농축조

탈수설비

슬러지 반출

폐기물 관리

폐기물 배출관리

구분 단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동화약품 전체
폐기물 발생량 일반 폐기물 소각 189.6 327.56 174.01 모니터링
재활용 394.51 384.24 429.08
지정 폐기물 소각 14.06 21.26 19.0
재활용 226.71 256.74 241.88
의료 폐기물 소각 3.427 4.179 5.93
폐기물 발생량 합계 828.307 993.979 869.9
폐기물 발생량 집약도 톤/생산량(백만개) 1.44 1.65 1.45
폐기물 재활용률 (폐기물 발생량 합계 대비 재활용량) % 75.0 64.49 77.13
사업장 폐기물 배출목표* - 100 101.5 102.5
사업장 폐기물 배출실적 - 93.9 101.4 모니터링
사업장 폐기물 배출실적 집약도 톤/생산량(백만개) - 0.16 0.17 -
GMP 공장
폐기물 발생량 일반 폐기물 소각 177.04 309.57 163.81 모니터링
재활용 394.51 384.24 429.08
지정 폐기물 소각 0.4 - 0.12
재활용 226.71 256.74 241.88
의료 폐기물 소각 1.66 1.8 1.99
폐기물 발생량 합계 800.32 952.35 836.88
연구소
폐기물 발생량 일반 폐기물 소각 12.56 17.99 10.2 모니터링
재활용 - - -
지정 폐기물 소각 13.66 21.26 18.88
재활용 - - -
의료 폐기물 소각 1.767 2.379 3.94
폐기물 발생량 합계 27.987 41.629 33.02

사업장 폐기물 배출목표는 생산활동에서 발생되는 일반쓰레기 및 폐의약품 집계로 분리수거 및 공정개선을 통한 배출량 감소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집약도는 배출량(톤)/생산량(백만개)으로 충주공장 연간 자사생산 실적(제제기준)을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폐기물 주요 재활용 현황

구분 폐기물 종류 재활용 방법
동화약품 폐기물 재활용 현황
일반 폐기물 폐수처리오니(고상) 연료, 고형원료 제품 제조
폐활성탄(고상) 직접 제품제조
식물성 잔재물(고상) 농업 생산활동에 사용
폐유리병류(고상) 원료 제조
지정 폐기물 할로겐족 폐유기용제(액상) 직접 제품제조
그 밖의 폐유기용제(고상) 수리, 수선 재사용
그 밖의 폐유기용제(액상) 직접 제품제조
폐기계유(액상) 연료, 고형원료 제품 제조
맨위로 이동